| ||||
근전도검사란
근육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를 사용하여 유도, 증폭하여 기록하는 검사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근전도검사는 근육의 전기활동을 기록하는 근전도검사와 신경의 전기활동을 기록하는 신경전도검사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근육운동을 위한 기본활동단위인 척수 내의 신경세포, 신경섬유, 신경과 근육이 만나는 신경-근 접합부, 그리고 이에 속하는 모든 근육섬유를 통털어 ‘운동단위(motor unit)'라고 부른다. 근전도 검사는 운동단위 내의 모든 이상을 검사하는데, 병변의 위치가 어디이며 상태는 어떠한지, 병의 진행과 회복여부는 어떠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
||||
근전도검사의 방법 |
근전도검사는 근육과 신경을 자극하여 유발되는 전기활동을 측정해야 하므로 피부표면에 전극을 부착하거나 근육 내에 가는 전기침을 삽입한 후 검사를 시행한다. 특히 전기침을 삽입할 때에는 약간의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나 매우 가는 침을 사용하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으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힘을 주거나 힘을 빼면서 검사에 잘 협조해야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