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강에서 나는 악취. 구취증은 말 그대로 입에서 좋지 못한 냄새가 나는 증상이다.구취(입냄새)는 입이나 인접 기관에서 유래하는 냄새로서 일반적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나쁜 냄새를 말한다. 구취는 입, 코, 호흡기, 소화기 등으로부터 발생하지만 약 90%는 입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
||||
| ||||
구취의 구강내 원인으로는 염증, 치태(프라그), 타액분비 감소, 구호흡, 충치, 불량한 충전물이나 보철물 등이 있으며 특히 혀는 구취를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부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구강외 원인으로는 당뇨, 간질환, 신장질환 등과 같은 전신 질환이나 비강, 상기도의 염증 등이 있다. |
||||
| ||||
정상적으로 나는 입냄새와 병적으로 나는 입냄새가 있다.
이러한 구취는 본인이 잘 알지 못하고 가족이나 친구 등 다른 사람들이 직접 이야기하거나 그들이 얼굴을 돌리거나 인상을 찌푸리는 등 간접적인 행동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어떤 환자들은 실제로 냄새가 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입이나 몸에서 냄새가 난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구취의 유무와 심한 정도는 구강내 휘발성 황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방법에 의하여 진단되어야 한다.
내과적 질환에 의한 구취는 아주 증상이 심해야 생긴다. 예컨대 간질환으로 생선 냄새 같은 구취가 나려면 황달 복수 등의 증상이 동반된 후에라야 한다. 위장에 문제가 있으면 고기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하지만 실제는 거의 감지할 수 없는 수준이다. 또 신장병이 있으면 암모니아 냄새가, 당뇨병은 과일 또는 아세톤 냄새가 날 수 있으나 이 역시 중증이 아니면 맡기 힘들다. |
||||
| ||||
입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은 원인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내과적인 원인에 의해서 구취가 발생한 경우라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자고 일어났을 때, 배고플 때, 긴장했을 때 등의 생리적인 구취는 그 때 상황에 따라 양치질을 하거나 긴장을 푼 상태에서 푹 쉬고, 혹은 물 양치로 입안을 충분히 행구어내는 대증요법만으로도 효과적이다. 이 경우 입안이 끈적끈적하고 신듯한 느낌이 들면 한컵정도의 물에 차 숟가락하나 정도의 소다나 과산화수소를 타서 입안을 헹구면 효과를 볼 수 있다.
구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1) 치과(구강내과)에 내원하여 필요한 검사와 진단을 받는다. (2) 칫솔, 치간 칫솔, 치실 등을 사용하여 치아를 깨끗이 하고 혀도 닦아준다. (3) 정기적으로 치석을 제거한다. (4)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포함한 저지방 음식을 섭취하고 파, 마늘, 양파, 겨자, 달걀 등과 같은 구취 유발 음식은 피한다. (5) 물을 자주 마신다. (6) 입이 마른 경우에는 인공 타액, 특별한 치약, 무설탕 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7) 치과(구강내과)에서 처방하는 양치액을 사용한다. |
||||
| ||||
식후 입냄새를 없앤다고 껌을 씹거나 구강청정제를 사용하는 것은 일시적인 냄새제거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지는 몰라도 근본적인 구강내의 청결유지나 충치 등 구강질환을 예방할 수는 없다.
구취를 방지하는 데에는 식후 3분이내 3분이상 하루 세번 이와 혀를 닦아 입안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치과적인 원인 이외의 내과적인 원인을 조기에 알아내기 위해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꼭 받도록 한다. |
||||
| ||||
의사의 상담이 필요한 경우 |
대부분의 원인이 치과적 질환인 경우가 많지만 10%는 당뇨병, 소화기질환(위궤양, 대장질환, 간질환, 위산식도역류 등), 호흡기질환, 신장질환, 이비인후과질환 등의 문제가 있어 생긴다. 구취 자체에 의해서 환자 본인이 질병을 의심하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꼭 받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