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상식 모음 ♣/☞ 의학상식 ☜

임플란트

짜로 2008. 5. 8. 16:54
개요  

임플란트란?    

 

임플란트(인공치아이식)란 상실된 치아 대신에 잇몸과 턱뼈 안에 타이타늄으로 된 매식체(임플란트)를 심고 일정기간 치유기간 후에 매식체 위에 인공치아를 만드는 시술법입니다.

수술의 부담감과 긴 치료기간 그리고 비싼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금관치료법이나 틀니에 비해서 탁월한 시술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많은 치과의사들과 일반환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플란트의 장점    

 

 기존의 금관치료

  

주위치아의 삭제가 요구됩니다

 

 임플란트 치료법

주위치아의 삭제 없이 심미적으로 상실 된 치아를 수복할 수 있습니다.

 

 

적용  

임플란트에 대해    

 

치과에서 시술하는 임플란트 시술이란 치아가 없어진 위치에 새로운 제2의 영구치라 할 수 있는 인공치근을 이식하고 고정식 치관이나 의치를 부착시킴으로써 본래 자신의 치아와 같은 감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방법입니다.

임플란트의 재료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골융합 및 구강내에서 무해한 티타늄(TITANIUM)을 사용합니다.

 

- 상하악의 1~2개 치아의 결손시 주변 치아를 깍지 않고,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을 시행합니다.

- 상하악의 세 개 이상 치아의 결손시 부분틀니 대신 결손치 만큼의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을 시행합니다.

- 상하악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기존의 틀니 대신 임플란트 식립 후 고정장치에 의해 자연치와 유사한 저작력을 가진 보철을 시행합니다.

- 구강암의 종양 제거시 결손된 상하악골 이식 후 이식골에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을 시행합니다.

 

- 브릿지처럼 치아를 갈아서 손상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 틀니보다 저작력이 5~7배 강하며 더 잘 씹힙니다.

- 브릿지처럼 남아 있는 치아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으므로 치아의 수명이 길어집니다.
- 틀니나 브릿지처럼 염증이 생기거나 잇몸이 아프지 않습니다.
- 음식을 맛보고 먹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 틀니처럼 식사나 이야기 도중 빠질 염려가 없습니다.
- 틀니처럼 끼웠다 뺐다 하는 불편이 없습니다.
- 저작력이 향상되어 영양섭취가 좋아지고 건강해지며 수명이 연장됩니다.
- 틀니보다 모양이 좋아 더 자연스러워 보이고 젊어 보입니다.
- 손으로 입을 가리지 않고 마음놓고 웃거나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 이물감이 없어 자기 치아와 같은 편안함이 있습니다.
- 임플란트는 틀니나 브릿지보다 수명이 아주 깁니다.
- 틀니를 오래 쓸 경우 턱뼈가 흡수되어 틀어지거나 약해지지만 임플란트는 턱뼈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켜 줍니다.
 

- 환자의 구강내 인상 모델 및 방사선학적 사진의 정보에 의해 임플란트를 선택합니다.

- 처음 수술시 턱뼈에 임플란트를 위치시키고, 잇몸으로 임플란트를 덮습니다. 이러한 시술로 곧 치아가 입안에 있는 듯한 느낌을 지니게 됩니다. 이후 다음 단계의 시술은 환자 상태 및 임플란트의 조건에 따라 3~6개월후 시행합니다.

- 두 번째 수술시 임플란트 위의 잇몸을 열어 고정성 틀니를 제작하여 인공치근과 나사로 연결합니다.
이후 상부 치관 보철물을 연결합니다.

 

장기간의 임플란트의 성공은 환자의 건강상태, 임플란트의 모양, 악골의 골질, 보철물의 종류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으나 특히 환자의 전신 건강상태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임플란트 자체는 인체내에서 녹이 슬거나 변질되지 않습니다. 시술 후 임플란트의 수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는 구강 위생입니다. 규칙적인 칫솔질로 플라그의 형성을 방지해야 하고,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치과의사의 지도를 받으면 임플란트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술하는경우   

 

어금니가 상실된 경우 (하나)

 어금니가 상실된 경우 (여러개)

 앞니가 상실된 경우

'♣ 정보·상식 모음 ♣ > ☞ 의학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적출술  (0) 2008.05.08
자궁경부염  (0) 2008.05.08
인공항문형성술  (0) 2008.05.08
응급처치  (0) 2008.05.08
육아  (0) 2008.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