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염(鼻炎)은 원인에 따라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누고 있으며 알레르기성 비염은 특정 계절과 연관된 계절성비염과 무관한 통년성으로 나뉘고,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뉜다. 그리고 임상양상에 따라 급성경과를 밟는 급성비염과 만성경과를 따르는 만성비염으로 나눌 수 있다.
|
||||
| ||||
만성비염은 원인에 따라 감염에 의한 감염성 비염, 외부자극에 의한 혈관운동성 비염, 약제에 의한 약물성 비염, 비강내 점막과 뼈가 두꺼워지는 만성비후성 비염으로 나뉠수 있다. 감염성 만성비염은 대개 급성비염의 치료가 불완전하여 반복적 감염을 보이는 경우, 부비동염이나 편도조직의 만성 염증으로 비염이 장기 지속하는 경우, 전신 영양상태나 면역상태가 불량하여 비염이 치유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대개는 어린이에서 흔히 보이며 만성부비동염과 병발하는 경우가 많다. 혈관운동성 비염은 찬 공기, 온도나 습도의 변화, 피로나 스트레스, 담배연기나 먼지, 냉난방기 등에 노출 될 경우 발생된다. 약물성 비염은 급성 비염등이 있을때 코막힘 증상을 쉽게 조절하기 위해 처방된 국소용 점막수축제를 2주 이상 장기간 사용할 때 생긴다. 이 외에도 항고혈압 약물의 일부와 말초혈관 확장제의 장기간 사용에서 비점막이 자극되어 일어날 수도 있다. 만성비후성 비염의 경우 비염의 근본원인과 무관하게 비염의 염증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 발생한다. |
||||
| ||||
만성비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비폐색(코막힘)이다. 보통 좌우로 교대로 막히지만 심한 경우 양쪽 코가 모두 막혀서 비호흡에 장애를 초래하고, 이 경우 환자는 입으로 호흡하게 된다. 흔히 낮보다 밤에 더욱 불편하고, 옆으로 누웠을때 아래쪽으로 된 비강이 막히는 데 이는 그쪽의 하비갑개가 부어서 발생한다. 다른 증상으로 비루(콧물 흘림)이 있는데, 대개는 맑은 액체이나 세균에 의해 감염되면 황록색의 화농성으로 변할 수 있다.
비강의 분비물이 후비공으로 흘러가는 수가 많은데 이런 증상을 후비루(後비루)라고 한다. 또한 염증으로 인해 비강점막 신경이 노출 됨으로써 발작성 재채기를 일으키기도 하며, 후각감퇴나 상실이 생기기도 한다. 만성비염은 결막염, 중이염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
| ||||
만성비염의 치료 | ||||
감염성 비염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의 투여로 충분하나 치료가 충분하지 않고 만성비후성 비염으로 진행할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 혈관 운동성비염은 치료로 국소분무형 스테로이드 제를 사용하는데 비폐색이나 비루에 좋은 효과를 보이며 증상에 따라 항콜린제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비중격만곡증 교정 수술이나 비갑개 성형술등의 수술적 치료를 동반할 경우 약물 치료에 대한 효과가 더 좋을 수 있다.
약물성비염의 경우 해당 약물의 철저한 사용 금지가 우선적인 치료방법이다. 비점막수축제에 의한 약물성 비염도 대개 2~3주 동안 사용을 중지하면 정상적인 비순환이 회복되면서 증상이 소실된다. 만성비후성 비염은 우선 국소분무형 스테로이드 제를 사용하거나 서방형 스테로이드 제의 국소주사법을 사용한다. 효과가 없으면 하비갑개 성형술이나 절제술등의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 ||||
| ||||
만성비염의 예방 | ||||
일단 생긴 비염은 장기화 하지 않도록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관 운동성 비염의 경우 자극이 되는 환경을 회피하는 것이 좋다. 약물성비염의 경우 국소용 비점막수축제를 임의로 장기간 사용하는 것을 금해야 한다.
| ||||
| ||||
만성비염이 생기면 비강에 자극이 되는 환경을 피하고, 호흡기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유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
| ||||
- 코막힘 증세가 심하고 콧물이 자주 나는 경우 - 발작성 재채기나 후각 감퇴 증상이 잇는 경우 - 비염 증세가 장기화 하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