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기흉이란 폐를 싸고 있는 막과 폐실질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는 상태를 말한다. 기흉은 크게 저절로 발생하는 자연기흉과 둔상, 관통상, 인위적 원인등으로 발생하는 외상성 기흉의 두가지로 크게 나누어진다.
자연 기흉은 폐의 선행질환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과 뚜렷한 폐의 선행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이차성 자연 기흉으로 나눈다. |
|||||||
| |||||||
일차성 자연기흉은 젊고 키가 크고 야윈 남자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며 폐의 상단 첨부에 위치한 소기포의 파열에 의해 생긴다. 소기포의 생성 과정은 빠른 성장 과정중에 상대적으로 폐조직이 폐혈관에 비해 빨리 자라는 과정에서 폐의 말단 부분에 상대적인 혈액공급 부족상태가 발생되는 가설이 유력하다. 드물기는 하지만, 유전적으로 가늘고 긴 체형을 가지는 마르팡증후군(Marfan syndrome), 폐에 기능이 없는 작은 공기 주머니가 생기는 선선성 폐낭(lung cyst)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차성 자연기흉은, 폐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관지가 좁아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성 자연기흉도 큰 원인을 차지한다. |
|||||||
| |||||||
기흉은 특징적으로 흉부통증과 호흡곤란을 보인다. 흉통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운동과는 무관하며 대개 24시간 이내에 소실된다. 호흡곤란은 선행 폐질환이 있거나 기흉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불편할 정도의 호흡곤란으로 나타난다. 이차성 기흉의 경우 기흉의 크기가 일차성 기흉과 같더라도 호흡곤란 증상이 심하고 위험성도 크다.
재발율은 일차성과 이차성이 비슷하여 약 50%이다. 소규모의 기흉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외에 특별한 이학적 소견이 없는 것이 보통이나, 기흉 크기가 커서 폐가 심히 쭈그러드는 경우는 흉곽운동이 감소되거나 타진상 고음이 들리고, 청진상 호흡음도 감소된다. 흉부X-선 사진을 보면 특징적인 공기음영 소견이 보인다. |
|||||||
| |||||||
|
|||||||
| |||||||
|
|||||||
| |||||||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금연이 권장된다. 기흉의 1차 발병 후 재발율은 약 50%로 매우 높고 같은쪽 흉강에 생길 확률이 75%이다. 대부분 첫 발병 후 2년 안에 재발되므로, 환자는 기흉의 증상을 숙지하고 있는 게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