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에 대한 속설 따라잡기
예비 부모들이 간과할 수 없는 것이 각종 임신, 출산에 대한 속설들. 따르자니 근거가 부족한 것 같고, 무시하자니 마음에 걸리는 게 사실이다. 개그맨 이홍렬씨가 이런 예비 엄마아빠들을 위해 출산 정보 도우미로 나섰다. 제대혈업체 메디포스트가 오는 11월까지 매월 개최하는 ‘이홍렬 셀트리 산모교실’에서 ‘전문가와 함께하는 속설 따라잡기’ 코너를 통해 속설의 진위 여부를 알려주고 있는 것. 셀트리 산모교실을 통해 밝혀진 몇 가지 속설의 진위 여부를 알아보자.
●피임약을 오래 복용하면 불임이나 기형아를 출산할 수 있다(×)=임신 전 피임약 복용이 태아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는 없다. 이는 이미 세계보건기구에 의해서도 확증된 사실.
피임약의 호르몬 성분은 몸에 축적되지 않고 복용하는 주기 동안에만 작용한다.
●임신을 하면 류머티즘 관절염이 좋아진다(○)=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가 임신을 하면 관절염이 호전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특히 뱃속의 태아와 엄마의 유전형이 많이 차이날 때 그렇게 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출산하고 나면 다시 악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임산부에게 몸에 열이 나게 하는 삼계탕은 좋지 않다(×)=찹쌀 밤 대추 마늘 등을 넣은 영계 백숙이나 황기 인삼 등을 넣은 삼계탕은 영양이 풍부하고 근섬유가 가늘어 소화가 잘되기 때문에 임산부의 영양식으로 적극 권장되는 음식이다.
●출산한 지 6개월이 넘으면 물젖이므로 모유를 끊어야 한다(×)=흔히 엄마들이 모유를 열심히 먹이다가도 6개월부터는 영양가가 없다는 이유로 젖을 끊고 분유로 바꿔 먹이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에서는 아기에게 적어도 2년~2년6개월 정도 모유 수유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임신-출산에 대한 속설 따라잡기
●피임약을 오래 복용하면 불임이나 기형아를 출산할 수 있다(×)=임신 전 피임약 복용이 태아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는 없다. 이는 이미 세계보건기구에 의해서도 확증된 사실.
피임약의 호르몬 성분은 몸에 축적되지 않고 복용하는 주기 동안에만 작용한다.
●임신을 하면 류머티즘 관절염이 좋아진다(○)=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가 임신을 하면 관절염이 호전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특히 뱃속의 태아와 엄마의 유전형이 많이 차이날 때 그렇게 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출산하고 나면 다시 악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임산부에게 몸에 열이 나게 하는 삼계탕은 좋지 않다(×)=찹쌀 밤 대추 마늘 등을 넣은 영계 백숙이나 황기 인삼 등을 넣은 삼계탕은 영양이 풍부하고 근섬유가 가늘어 소화가 잘되기 때문에 임산부의 영양식으로 적극 권장되는 음식이다.
●출산한 지 6개월이 넘으면 물젖이므로 모유를 끊어야 한다(×)=흔히 엄마들이 모유를 열심히 먹이다가도 6개월부터는 영양가가 없다는 이유로 젖을 끊고 분유로 바꿔 먹이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에서는 아기에게 적어도 2년~2년6개월 정도 모유 수유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임신-출산에 대한 속설 따라잡기
'♣ 정보·상식 모음 ♣ > ☞ 의학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성 당뇨병 (0) | 2008.01.04 |
---|---|
임신비만?…영양섭취 지나치면 당뇨-고혈압 (0) | 2008.01.04 |
임신부에 좋은 여름 운동은 수영 (0) | 2008.01.04 |
쌍둥이임신부는 `설움`도 두배 (0) | 2008.01.04 |
체중증가 12kg이내로…20kg 넘으면 임신비만 (0) | 2008.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