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상식 모음 ♣/☞ 의학상식 ☜

복수천자

짜로 2008. 6. 2. 15:49
개요(결과의 의미 포함)  

복수천자란    

 

복부의 내장은 복벽과 복막으로 이루어진 복강 내부에 위치해 있는데 복강 내에는 소량의 복수가 차 있어서 윤활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복수천자란 복벽을 통해 가는 바늘을 복강 내로 찔러 넣어 복수를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복수천자의 적용    

 

복수천자는 크게 진단과 치료의 두 가지 목적으로 시행된다.

복강 내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종양이 발생하면 복막의 염증반응에 의해 복수가 차오르면서 복수의 성분에 물리화학적 또는 세포학적 변화가 발생하는데, 채취한 복수를 검사하여 복막내 염증소견이나 세균여부, 암세포 관찰여부 등을 확인하는 것을 진단목적의 복수천자 또는 복수천자검사라고 한다.

 

치료목적의 복수천자는 간경변증이나 암성 복막염의 경우처럼 복수가 너무 많이 차올라 복부가 팽만되고 호흡이 불편할 경우 복수를 외부로 뽑아내어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시행된다.

 

 
 
기타 꼭 알아야 할 내용  

복수천자 후 주의할 점  

 

복수천자를 위해서는 복부로 주사침을 찔러 넣어야 하므로 드물긴 하지만 내부 장기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통과 함께 발열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 발생할 경우 의사나 간호사에게 알려야 한다.

 

한편, 다량의 복수를 치료목적으로 배액시키는 경우 탈수증상이나 전해질장애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정보·상식 모음 ♣ > ☞ 의학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변잠혈반응검사  (0) 2008.06.02
봉소염  (0) 2008.06.02
보철치료  (0) 2008.06.02
베체트병  (0) 2008.06.02
백혈병  (0)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