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상식 모음 ♣/☞ 의학상식 ☜

조증

짜로 2008. 5. 9. 17:30
개요  

조병이란     

 

경조증과 조증상태가 있으며 우울증과 조증은 감정적 기분장애 연장선상의 양쪽 극단으로 이해하고 있다.

 
원인  
조병의 원인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사회심리학적 원인이 밝혀지고 있으며, 정신역동적요인도 존재한다.

 

증상.진단  

조병의 증상 및 진단  

 

감정이 유쾌해지며, 주의주장이 많아지고, 자아도취, 자기확신, 자신감, 힘, 허세 등이 넘친다. 돈을 허황되게 낭비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야심적인 계획에 가득차 있고 금방 실패하거나 포기해 버릴 일을 벌여 놓는다. 때로는 지나치게 술에 빠지게 되는데 다른 어느 문제보다도 이 과음 때문에 입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언어 구사에서 흔히 목소리가 커지고 말이 빠르며 최상급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식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절대로’, ‘결코’, ‘굉장히’ 따위의 표현을 많이 쓰고 과장과 강조가 흔하다. 참을성이 없고 무슨일이고 지속적인 관심이 없고 너무 분주하며, 주의가 산만하여 사고 과정이 급하고 쉽게 일탈하게 된다. 장난이 심하고 떠들썩하다. 타인과의 관계가 대게 피상적이고 타인의 요구나 느낌에 대하여 둔감하다. 더구나 요구가 많은데 그 요구가 좌절되어지거나 비판을 받으면 금방 분노, 신랄한 언사. 욕설, 노골적인 적개심으로 반응한다. 감정의 기복도 때에 따라서 갑작스럽게 나타난다.

 

DSM-IV 기준에 따르며, 정신과의사의 진단에 따른다.

 
 
질병관리(대응 및 치료)  

조병의 치료  

 

입원하는 경우는 진단적 절차가 필요할 때, 자살 또는 살인의 위험이 있을때, 환자가 안전을 도모하지 못할 때, 식사를 소홀히 할때, 급성 증상악화가 있을 때, 지지구조가 미미할 때 이다.

 

대게 리튬과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한다. 적정농도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리튬치료를 시작하면서 항정신병 약물로 조증을 억제하고, 조증이 잘 억제되면 항정신병 약물을 줄인다. 그 외 인지치료 및 대인관계 치료가 있다.

 

 
 
자가관리(만성성인병)  

조병의 자가관리    

 

자부심이 강하여 대립하거나 논쟁을 벌여 병세를 악화시키지 않도록 한다.

 
 
기타 꼭 알아야 할 내용  

진단적 절차가 필요할 때   

 

자살 또는 살인의 위험이 있을때

환자가 안전을 도모하지 못할 때

식사를 소홀히 할때

급성 증상악화가 있을 때

지지구조가 미미할 때

'♣ 정보·상식 모음 ♣ > ☞ 의학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이염  (0) 2008.05.13
조병  (0) 2008.05.13
정신분열증  (0) 2008.05.09
접촉성피부염  (0) 2008.05.09
전신경화증  (0) 2008.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