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로즈님한테 쪽지보내다가 여기 왔는데...여러분이 하시네요
보험에 관해
확인하고 싶은점
1)보상문제
허혈성심장(?) 퇴행성? 디스크..등 폭넓은거.
(인터넷으로)저도 보상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데 메리츠가 보상은 좀 잘해주는 편이라 들었어요
근데 저런것들까지 폭넓게 보장되는게 한화랑 그린이라던데..(이것도 인터넷)
그래서 끌렸지만 보장때문에 컴플레인 올린 글들이 종종눈에 띄어서 ..
좀 늦거나 번거로울뿐 다 나온다...라는 분들도 있지만 그런 문제가 종종 오르내린다는거 자체로 불안하긴하거든요..
저런질환은 아예 안되는데 한화나 그린은 해주는 보장인가요..
허혈성심장..어쩌구는 보험비도 비싸지만 보상해준다고 써있어도 실제로 보상받기가 굉장히 힘들다고 하구
저런게 있으면 바로 급성심근경색인지 뭘로 바로 되버려서 차라리 더 저렴하게 심근경색을 드는게 낫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병을 기다리라는건 말도 안되고 그렇다고 비싸게 보험들였는데 보상 잘안해주고 그럼 들을 필요도 없고...
실제로 폭넓게 좋은 보험들고 싶긴한데 정말 폭넓은게 무작정 좋은건지모르겠어요
2)갱신
3년갱신 5년갱신...->어짜피 건강의료보험료 인상폭에 따라올라서 3년이든 5년이든.....기간차이지 크지않다...?그리고 자동갱신이냐 거절당할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메리츠는 자동쪽이라고..그러는데..거절하는 보험도 있나요....
그리고 3년과 5년이 물론 납입기간동안 횟수차이는 있지만 의보료 인상폭에 따라 오른다면 3년과 5년이 별차이가 없는건지..
3)소멸과 환급
전 환급형은 안하려고 했는데요.. 나이 80되서 보험금타봤자..화폐가치 완전떨어져서 얼마 안할텐데 차라리 저렴하게 내는게 나을것같은데 중도인출이 화재에서 올해엔가 작년부터 생겼다고 하던데요
인출이 대출처럼 갚는게 아니라 환급율에 따라 적립된 금액이 있으면 그 돈을 그냥 찾아도 된다고 복리이자 식으로..
어찌보면 저축같이...
사실인지...
3)통원100
100만원이 굉장히 매력이었는데 실제 통원만으로 100만원쓸일이 없을것같은데.............쓸일있나요?? 이건여기다 물어볼게 아닌거같기도 하고..
4)조립식
어느 설계사분이 조립식을 굉장히 안권한다고
웃긴 얘기지만 여기저기 쪼개서 저가로 들면 보험에서도 우량고객이 아니어서 큰거 보상받을때 확 틀리다고 하던데요
여기서 몇만원 저기서 몇만원이 자잘한 보험보상때야 차이 못느껴도요..
보험료를 좀 많이 내줘야 우량고객이된다는게 ..좀그래서...어짜피 약관이란게 있는데 뭔소리냐고 그랬는데 큰 보상받을때 뭔가 틀리긴틀리다는데......ㅡ.,ㅡ워쩌...?
-----------전문가 까망달 답변----------
오호.. 질문이 많네요.. 간단히 답변~
1. 대표적으로 허혈성심질환의 경우.. 진단금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 한도가.. 500만원 정도입니다.. 어차피 치료실비 자체에서 치료비는 보장됨을 고려하고.. 허혈성심질환에 대한 특약을 위해 의무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질병사망 등으로 낭비되는 보험료 대비 효율성을 고려한다면.. 그다지 장점이 있는 특약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사견임!! ^^;
2. 세밀히 분석(?)한다면.. 분명.. 5년 갱신이 유리해 보이긴 합니다.. 그러나.. 오르는 보험료 폭이 작게 자주 하느냐.. 오르는 보험료의 폭이 크게 조금 덜 하느냐이지만.. 대단히 큰 차이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더구나 적립보험료를 적절히 구성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는 고민할 필요도 없죠..
3. 중도인출 가능합니다만.. 역시 갱신시 추가납에 대한 재원이 없다면.. 추가납입을 하셔야 하니.. 큰 차이는 없는듯..
4. 장기적으로 물가가 많이 오른다면.. 유용해 보이긴 하지만.. 실제 통원해서 쓰이는 비용을 보면.. 많은 것은 검사비용 등으로 4-50 선이더군요.. 물론.. 약간 오바하는 경우도 있고.. 그 이상 나오는 경우는 중요검사라.. 대부분 입원해서 하는 경우가 많아 이런 경우는 입원의료비에서 보장되죠..? ^^
5. 장점이 있다면.. 2-3가지 상품으로 나누어 가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우량고객이니 머니 이건.. 금시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