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경험률 |
|
 |
우리나라 20세 이상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500명에 대한 조사결과, 지난 한달 간 불면증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73.4%로 인구의 씬?수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별로는 연령이 높은 군에서 또한 소득별로는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불면증 경험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표 1). |
|
|
 |
또한 잠을 자기 위하여 술을 복용한 사람의 비율은 6.6%(남자 9.2%, 여자 4.0%), 잠을 자기 위하여 수면제 등 약을 복용한 사람의 비율도 3.4%(남자 3.6%, 여자 3.2%)로 불면증으로 인하여 술, 수면제 등을 복용한 사람의 비율도 인구 10명 당 1명의 비율로 높았다. |
|
|
< 표1. 불면경험률 > |
( 단위: %, 명 ) |
|
계 |
100.0(500) |
73.4 |
26.6 |
성별 |
남 |
100.0(249) |
73.1 |
26.9 |
여 |
100.0(251) |
73.7 |
26.3 |
연령별 |
20대 |
100.0(136) |
57.4 |
42.6 |
30대 |
100.0(139) |
74.1 |
25.9 |
40대 |
100.0(89) |
77.5 |
22.5 |
50대 |
100.0(67) |
83.6 |
16.4 |
60대 이상 |
100.0(69) |
88.4 |
11.6 |
소득수준별 |
중상층 |
100.0(177) |
66.1 |
33.9 |
중하층 |
100.0(248) |
73.8 |
26.2 |
하층 |
100.0(75) |
89.3 |
0.7 |
|
|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 2000. 주: 전국 거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조사의 결과임. |
|
|
|
 |
불면 경험자의 원인으로는 수면도입에 장애를 보이는 경우(30분 이내에 잠들기 어려움)가 33.0%, 수면유지(자다가 중간에 깨거나, 자다가 화장실에 감)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각각 45.2%와 40.2%이었고, 그 외에 코골이, 호흡곤란, 악몽 등의 원인이 있었다. |
|
|
< 표2. 불면의 원인별 분포 > |
( 단위: %, 명 ) |
|
30분 이내애 잠들기 힘들었다 |
33.0 |
67.0 |
자다가 중간에 깨거나 새벽에 일어난다 |
45.2 |
54.8 |
자다가 깨서 화장실에 가야한다 |
40.2 |
59.8 |
크게 코를 곤다 |
26.8 |
73.2 |
숨쉬기가 불편하다 |
9.0 |
91.0 |
악몽을 꾼다 |
17.8 |
82.2 |
너무 춥다고 느낀다 |
14.8 |
85.2 |
너무 덥다고 느낀다 |
13.8 |
86.2 |
통증이 있다 |
13.8 |
86.2 |
기침을 한다 |
11.8 |
88.2 |
|
|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 2000. 주: 전국 거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조사의 결과임. |
|
|
|
만성불면증 환자 |
|
 |
만성불면증 환자로 판단되는 4주 이상(지난 1년간) 지속되는 불면증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이 조사자의 9.6%(남자 11.2%, 여자 8.0%), 잠을 자기 위하여 술이나 수면제 등 약물을 복용한 비율은 7.2%(남자 7.2%, 여자 7.2%)이며, 불면증으로 인하여 실제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은 비율은 조사자의 3%이었다. |
|
|
주간의 과도한 졸리움 |
|
 |
주간의 졸리움은 많은 사람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조사대상자의 20.4%가 주간의 졸리움 -지난 한달 간 운전, 식사, 사회활동을 할 때 졸려서 깨어 있기 힘듬-을 경험하였다. 성별로는 남자의 20.9%, 여자의 19.9%이고 연령별로는 20대에서 19.1%, 60세 이상에서 26.1%로 나타났다. 프랑스에서 17세에서 22세 사이 58,162명의 징집된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서도 가끔씩 주간수면삽화(주간에 잠을 자는 경우)를 경험하는 경우가 14.1%, 매일 1~2회의 주간수면삽화를 경험하는 비율이 3.8%, 매일 2회 이상의 주간수면삽화를 보고한 사람이 1.1%이었다. |
|
|
< 표3. 주간의 졸리움증 경험여부 > |
( 단위: %, 명 ) |
|
계 |
100.0(500) |
20.4 |
79.6 |
성별 |
남 |
100.0(249) |
20.9 |
79.1 |
여 |
100.0(251) |
19.9 |
80.1 |
연령별 |
20대 |
100.0(136) |
19.1 |
80.9 |
30대 |
100.0(139) |
19.4 |
112 |
40대 |
100.0(89) |
24.7 |
75.3 |
50대 |
100.0(67) |
13.4 |
86.6 |
60대 이상 |
100.0(69) |
26.1 |
73.9 |
|
|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 2000. 주: 전국 거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조사의 결과임. |
|
|
|
수면이상행동증 |
|
 |
수면이상행동에는 몽유증, 잠꼬대, 야뇨증 등이 있는데, 악몽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이 19.8%이었다(표 3 참조). 과거 조사에서 악몽의 현재와 과거의 유병율은 11.2%였다. 몽유증, 잠꼬대, 야뇨증의 각각의 유병율은 2.5%, 5.3%, 2.1%이었다. |
|
|